아티클 스터디

[ 아티클 스터디 ] 데이터가 쌓여서 스마트 팩토리가 되는 과정

da-hong 2025. 6. 5. 21:47

📰 오늘의 아티클: 데이터가 쌓여서 스마트 팩토리가 되는 과정

 

데이터가 쌓여서 스마트 팩토리가 되는 과정

현대차그룹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HMGICS)는 방대한 데이터의 집합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HMGICS 곳곳에서 발생한 모든 데이터는 수집과 정제 작업을 거쳐 지능형 모빌리티 생산 시스템을

www.hyundai.co.kr

 

 

✅ 요약 

현대자동차그룹의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HMGICS)는 데이터를 핵심 동력으로 삼아 운영되는 차세대 스마트 팩토리이다. HMGICS는 공정에서 발생하는 방대한 데이터를 수집, 선별, 표준화하여 통합 플랫폼(MES)에서 관리하고, 이를 시각화된 대시보드를 통해 실시간으로 보여준다. 또한 5G 네트워크와 IoT 기술을 활용해 로봇, 장비, 시스템 간의 연결성을 높여 자동화된 공정을 구현했다. 궁극적으로는 데이터만으로도 스스로 판단하고 운영되는 완전 자동화 공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주요 포인트 

  • 데이터 중심의 스마트 팩토리: HMGICS는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활용해 생산 효율과 품질을 높임
  • 통합 플랫폼(MES): 다양한 공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표준화·정제하여 하나의 통합 플랫폼(MES)에서 관리
  • 실시간 데이터 시각화: H-데이터 스튜디오와 대시보드를 통해 공장 운영 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 첨단 네트워크 인프라: 5G·IoT 기반의 네트워크로 데이터와 로봇, 장비 간 실시간 연동 및 자동화 실현
  • 확장성: HMGICS에서 축적된 데이터와 노하우를 다른 공장으로 확장해 ‘데이터 드리븐 팩토리’ 실현 목표

📘 용어 정리 

  • 스마트 팩토리: 생산 과정의 자동화,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효율성 극대화를 목표로 하는 첨단 제조 공장
  • 데이터 표준화(Data Standardization):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일관된 기준으로 가공·정제해 통합 활용 가능하게 만드는 작업
  •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생산 현장의 다양한 데이터를 통합·관리·분석해 생산 공정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시스템
  • DFM(Data Flow Management): 시스템과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 흐름을 관리하는 구조
  • IoT(사물인터넷): 다양한 기기와 센서가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술
  • Digital Transformation: 기존의 아날로그 공정과 설비를 디지털 기반으로 전환하는 혁신 과정

📊 실무 적용 사례

현대자동차 HMGICS 외에도 국내외에서 다양한 스마트 팩토리 구현에 성공한 사례들을 알아보았다.

 

삼성전자
삼성전자는 온양, 천안공장에 세계 최초 반도체 패키징 무인화 라인을 구축했다. 웨이퍼 이송장치, 리프트, 컨베이어, 반송장비 등 설비 완전자동화를 실현하여 설비 고장률을 90% 감소시켰다. 또한 수원 공장에서는 5G, AI, 딥러닝, 혼합현실, 로보틱스, IoT, 클라우드컴퓨팅 등을 적용해 제조공정의 70% 이상을 자동화했다.

 

LG전자
LG전자의 창원 스마트파크는 국내 가전업체 중 최초로 세계경제포럼(WEF)이 선정한 '등대공장'으로 선정되었다. 디지털트윈 기술을 적용하여 10분 뒤 생산 라인 상황을 예측할 수 있어 불량원인 분석 시간을 50% 이상 단축하고, 불량률을 30% 감소시켰다.

 

테슬라 기가팩토리
테슬라는 기존 GM/도요타 생산공장을 인수하여 자동화 공장으로 개조했다. 공정의 완전 자동화 및 최적화, 공장 공간 최적 설계 기술을 도입하여 공장 규모 대비 생산성을 경쟁사인 도요타 대비 2배 이상 향상시켰다.

 

📎 참고

https://ppta.or.kr/webzine/2024_05/a2.html